본문 바로가기

내구성2

철근의 피복두께 및 중성화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1) 피복두께라 함은 철근의 외면과 콘크리트 표면과의 거리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내구성 · 내화성 및 응력 전달면에서 볼 때 철근은 충분히 피복되어야 한다. 피복두께는 기둥의 경우 띠철근의 외면까지, 보의 경우 스트럽의 외면까지의 콘크리트 두께를 말한다. 2) 철근의 피복목적 ① 내화성 ② 내구성, 즉 철근의 방청 ③ 시공상 콘크리트 치기의 유동성, 특히 굵은 골재의 유동성 유지 3) 옥외에 면하는 치장 콘크리트 또는 특히 마모가 예상되는 곳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는 특기에 의한다. 특기가 없을 때에는 보통 피복두께보다 1cm 이상 증가하거나 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라 55% 이하의 물 ·시멘트비의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내화성 1)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가열에 의하여 강도가.. 2022. 11. 14.
콘크리트 줄눈(Joint) 콘크리트 줄눈 개요 1) 콘크리트 줄눈에는 시공상 필요에 의한 시공줄눈(Construction Joint)과 다양한 변위에 대응 하기 위한 기능줄눈(Function Joint)이 있다. 2) 기능성 줄눈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시공되어야 한다. 콘크리트 줄눈(Joint)의 종류 1) 시공이음 2) 콜드조인트 3) 기능성 줄눈(Function Joint, Movement Joint) ① 신축이음(Expansion Joint) ② 균열유도줄눈(Control Joint) ③ 지연줄눈(Delay Joint)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 1) 개요 ① 시공줄눈은 경화된 Con'c에 새로 Con'c를 이어붓기 함으로 발생되는 줄눈으로 ② 구조적으로 꼭 필요한 줄눈이라.. 2022.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