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골공사 개요
1) 철골은 강구조건축물, 철골 철근콘크리트구조 건축물, 강공작물 등의 구조주체로서 대규모의 초고측 건축물 부터
소규모의 저층사무소나 창고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2) 철골공사에는 강재로부터 철골부재를 제작하는 공장제작과 현장에서 철골부재를 조립하는 공사현장시공의 2가지의
공정이 있다. 철골공사에서는 구조설계상의 의도를 충분히 실현하여 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철골의
각 구조부위에 요구되는 성능과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공장제작 및 공사현장시공에 있어서 개개공사의
시공지침을 정하여 공사의 표준화를 도모하고 시공기술의 신뢰성을 높인다.
3) 철골공사를 건물의 구조면에서 분류하면, 순수한 철골구조, 철골 철근콘크리트구조, 잡공작물의 철골공사 등의 종류가
있다. 철골공사에 사용하는 강재는 모두 적확한 형상을 이루고, 심한 흠이 없어야 한다. 강제의 종류에는 봉가, 평강,
형강, 강판, 리벳, 볼트, 너트 등이 있다.
철골공사 계획
1) 공장작업계획
① 철골가공은 가급적 공장에서 완성품이 되도록 가공하여 현장에서 조립, 세울 수 있게 되도록 한다
② 현장세우기 방침에 따라 소요부재를 순서에 따라 분할 가공
③ 정척물, 중량물은 소송능력과 세우기 가능 여부에 따라 분할가공
④ 동일종의 부재가 다소 있을때는 능률을 감안하여 연속가공
⑤ 가공을 마친 부재는 반출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
2) 현장작업계획
① 설치계획
- 철골의 설치를 위하여 평명도, 골조도의 치수, 기둥, 보 등의 접합, 각 부재의 중량 조사, 세구기 기체의 배치계획,
행동범위, 조립순서, 기계의 이동, 바로잡기 등의 계획도를 작성한다.
② 반입계획
- 교통안전대책 마련
- 양중계획 수립
- 하치장 마련
③ 가공장장의 선정
- 공작기계의 보유상태와 능력의 적정성
- 공장의 기술자 및 작업원의 정도 및 인원수 확보 여부
- 현장작에 지장이 없도록 부재 적치장, 정리장소 등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
- 가공예정기간중 공장의 공작작업 보유량
④ 운반계획의 검토
- 운반로의 도로폭, 가이드, 교량 등의 치수 및 중량상의 제한
- 주간대, 야간대 또는 혼장시 등 시간의 제한
- 적재시의 용적, 중량, 길이, 폭 등의 제한
⑤ 안전관리 계획 및 가설전력설비
공장제작
1) 설계도에 의하여 공장의 원척장에서 원척도를 작성한다.
2) 원척도를 따라 얇은 강판을 이용하여 현뜨기를 한다.
3) 검사에 합격된 재료의 비틀림 고침을 한다.
4) 형판과 자를 이용하여 강제 위해 절단, 구멍뚫기의 위치, 리벳위치 등을 표시한다.
5) 강제의 절단, 구부림, 깍기를 한다.
6) 볼트구멍, 리벳구멍 등을 뚫는다.
7) 각각의 부재를 가조임 볼트류로 조립한다.
8) 조립된 부재 접합점을 리벳치기 또는 용접한다.
9) 고정검사가 완료되고 지정된 부분의 도장이 끝나면 현장으로 수송한다.
현장시공
1) 앵커볼트
① 고정매설법 : 정확한 기둥의 먹줄에 따라 주각을 고정하는 앵커볼트의 매설법에는 소정의 위치에 미리 기초
콘크리트의 거푸집에 정확히 고정시켜 콘크리트를 타설
② 가동매설법 : 앵커볼트의 두부를 뒤에 자유롭게 이동조절할 수 있게 누두상통을 볼트의 위치에 남기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앵커볼트의 두부 위치를 정확히 조절한 후, 모르터 타설
2) 조 립
① 철골세우기는 신중한 계획을 세워서 세우기순서, 방향 등을 정하고 이에 따라 행한다.
② 지상에서 조립할 때에는 적절한 가설대, 지그 등을 사용하여 지상조립부주재의 정밀도를 확인하도록 한다.
③ 기둥을 세우고, 보를 걸치고, 자립력을 유지하면서 구조체를 굳건히 해간다.
④ 세워나갈 때 수직 보기를 실시하고, 계획된 수직, 수평이 맞지 않으면 변형이 생긴 부분은 바로잡는다.
⑤ 바로잡기가 끝나면 가볼트조임 후 수직, 수평, 안전등을 확인한 후 본조임을 한다.
댓글